google-site-verification=8Cl_i0EJ4IFY1rrQqED07VKxLxyhk7O7sPmoW6eRrxk
본문 바로가기

건강한삶

2022년 새롭게 바뀌는 청년정책모음

728x90
반응형

2022년 새롭게 바뀌는 청년정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정책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라 2030세대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기위한 정책

 

대상자

만19세~35세 이하의 청년이면서 본인 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인 청년 

부모님 소득이 중위100% 이하인 사람

주택 명의가 부모님이나 형제 자매인 경우 신청 불가

지원혜택

12개월간 월 20만원씩 지원, 무지자 월세 대출 20만원 한도

 

청년취업지원금

 

청년 취업 시 구직 촉진수당 지급

조건이 완화되었고 지원 규모가 확대 되었음

 

대상자

만19세~34세 의 청년 구직자 (심사형은 만15세~68세)

중위소득 120% 이하 이전 취업 경험 없어도 됨

총 재산 4억원 이하

 

혜택

월 50만원씩 6개월간 지급 총 300만원 지급 및 취업 지원 서비스 제공

 

청년내 내일저축

 

청년 내일 저축 계좌를 소득이 낮은 청년들이 받을 수 있게 함

 

대상자

만19세~34세 청년 (기초수급자나 차상위계층은 만15세~39세 까지)

급여를 받고 있어야 하고 중위소득 100%이하 ( 차상위계층은 기준 면제)

대소시 3억5천 중소도시 2억 농어촌지역 1억7천 이하 제산 소유

 

혜택

본인 적립금 10만원을 매달 저축시 정부지원금 포함 최대 1,440만원 수령 할 수 있음

 

청년 희망 적금

 

청년들의 자산을 형성하게 위해 시중금리 적용한 이자 외에 추가로 저축 장려금을 제공하는 적금

 

대상자

만19세~34세 미만의 청년 근로자

1년 총 급여 3,600만원 미만 또는 종합소득세 2,400원 이하

1년형은 총 납입액의 2% 2년형은 연 4% 수준의 저축장려금 추가 지급

혜택

월 50만원씩 2년 만기 저축시 4% 정도의 저축 장려금 추가 지급 (약 36만원)

 

청년 전용 보증부 월세 대출

 

보증금 3,500만원 월세 50만원까지 저렴한 이자로 대출 가능

 

대상자

신청일 기준으로 무주택인 만19세~34세 미만의 청년

신청인과 신청인 배우자의 총 급여 합이 연 5천만원 이하

순 자산액이 2억 미만이고 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 했을경우

혜택

월세 20만원 한도 내에서 무이자 보증금 대출 이자 연 1.3%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납입액의 40%까지 소득공제 받고 원금과 투자 수익도 받을 수 있는 펀드상품

 

대상자

만19세 ~34세 미만 청년 근로자

연봉 오천만원 이하 

연간 납입한도 최대 6백만원 3년~5년 만기


혜택

3년 만기 기준 수령시 원금 1800만원 투자수익 최대 72신0만원 소득공제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만 34세가 될때까지 계속 연장이 가능한 전세대출

 

대상자

만19세~34세 미만의 무주택 세대주

신청인과 신청인 배우자의 합산 소득이 7천만원 이하

순 자산 2억 미만 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한 경우

 

혜택

보증금의 90% 이내에서 최대 1억까지 연2.2% 금리로 전세 보증금 대출 가능함

 

청년 마음건강바우처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상담소비스등 다양한 바우처 제공

대상자

만19세~34세

총 지급액의 본인 부담금 10%

 

혜택

월 20만원씩 3개월간 심리 상담비 지워

 

728x90
반응형